장마가 시작되면 어디에 얼마나 비가 올까?
2025년 강수 집중 시점과 지역별 폭우 패턴을
최근 10년간 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해드립니다.
“장마가 오는 건 당연하지만, 언제 어디에 집중되는지는 매년 달라진다”
2025년은 엘니뇨와 북서태평양 해수면 온도 상승이 겹치면서
기상청과 민간 기후 기관 모두 예년보다 강수 집중도 높은 장마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 변화로 인해 '정해진 장마’가 아닌 ‘변칙 집중성 장마’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과거와는 다른 분석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근 10년간 장마철 기후 데이터를 바탕으로
강수 집중 구간, 지역별 패턴, 장마 폭우 시점 예측까지
실제 투자자·소비자·산업계 모두가 참고할 수 있도록 정리해봅니다.
1. 2025년 장마, 평년보다 언제 시작되고 길어질까?
- 기상청 발표 기준(5월 말)
→ 장마 시작: 2025년 6월 23일경 제주
→ 중부지방: 6월 28일~7월 초 예상
→ 종료 시점: 7월 말~8월 초로 예측, 평균보다 1주 길어질 전망
원인:
- 엘니뇨의 영향으로 북태평양 고기압 북상 지연
- 이로 인해 장마전선이 한반도 상공에 오래 머무름
2. 최근 10년간 강수 집중 구간 (기상청 데이터 기반)
연도 | 집중 시기 | 평균 강수량 | 특징 |
2015 | 7.10~7.20 | 190mm | 중부 폭우 집중 |
2017 | 6.30~7.15 | 240mm | 전국 고르게 강수 |
2018 | 7.01~7.05 | 320mm | 4일간 300mm 이상 폭우 |
2020 | 7.20~8.12 | 390mm | 기록적 장마 (장기화) |
2023 | 6.25~7.30 | 420mm | 남부 → 중부 순차 집중 |
2024 | 6.27~7.28 | 285mm | 전국 분산형 집중 |
2025(e) | 6.23~8.1 | 330~450mm 예상 | 단기 집중 폭우 + 지역 편차 확대 |
2025년은 과거 2020년 수준의 장기성 + 2018년형 폭우 패턴 동시 가능성
3. 지역별 강수 패턴 – 어디가 집중될까?
중부권 (서울·경기·강원영서)
- 6월 말~7월 중순 집중
- 대기 불안정 영향 + 지형성 비
- 도심 침수 리스크 가장 높음
남부권 (광주·대구·부산·경남)
- 7월 중~말 집중
- 태풍 초기 수증기 유입 시 게릴라성 폭우
- 2024년 기준 시간당 80mm 이상 사례 다수 발생
동해안 (강릉·울진·포항)
- 동풍 계열 유입 시 집중
- 예상보다 늦은 7월 말~8월 초 가능성 존재
- 산사태 및 저지대 침수 가능 지역
4. 장마 예측 핵심 변수 3가지
1️⃣ 북태평양 고기압 위치
→ 북상 정도에 따라 장마전선 위치 결정
2️⃣ 티벳 고기압(대륙 고기압)
→ 동아시아 열수역 형성으로 대기 정체성 결정
3️⃣ 수온 (SST) 이례 상승 구간
→ 해수면 온도 1℃ 증가 시 강수량 최대 15%↑
2025년 기준: 한반도 남동쪽 해역 수온 평균 대비 +1.2℃ 상승 중
이제 장마는 단순히 “비 오는 계절”이 아니라,
산업·자산·도시 기반을 흔드는 위험 변수가 됐습니다.
폭우의 양보다 중요한 건 그 강수 집중이 어느 지역에, 얼마나 짧은 시간에 몰리느냐입니다.
예측은 불완전하지만,
패턴은 반복됩니다.
이제는 매년 반복되는 장마철 침수와 리스크에
데이터 기반으로 먼저 준비해야 할 시점입니다.
'🔍일상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마철 도로는 함정이다: 당신의 생명을 지킬 운전 꿀팁 8가지 (4) | 2025.06.13 |
---|---|
장마철, 당신의 집이 곰팡이 천국이 되는 이유 (1) | 2025.06.13 |
여름철 면역력 높이는 음식 & 영양소 BEST 5 (2) | 2025.06.08 |
에어컨 필터 셀프 청소법 : 냉방비 아끼는 핵심 관리법 (4) | 2025.06.08 |
세탁기 내부 곰팡이 청소법 : 필터, 고무패킹 완전정리 (3) | 2025.06.08 |